산불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이 천막 대피소를 떠나 호텔, 모텔, 경로당으로 이동하고 있다.
영덕군 노물리 산불 피해 현장
영덕의 이재민들은 막막한 미래에 정신상담으로 버티고 있고, 일부는 모텔에 주는 비용을 자신에게 주면 안 되겠냐고 묻기도 한다. 또 다른 이재민은 텐트에서 더 머물고 싶다며 항의한다. 이들은 함께 있어 불안함이 덜하고 생활비가 절약된다는 이유로 텐트를 고집한다.
A 할머니는 산불로 집이 전소되기 전 통장에서 200만 원을 찾아 침대 밑에 두었는데 모두 타버렸다며 보상이 되지 않느냐고 발을 구른다. 초대형 산불이 자연재난인지 사회적 재난인지에 대한 논란도 있다. 영덕에서 펜션 사업을 하는 G씨는 펜션과 집이 모두 타버렸지만, 사회적 재난으로 분류돼 보험금 지급이 불가해 엄청난 손해를 보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정치인들은 탄핵과 조기 대선 등으로 관심이 없고, 언론에서도 예천 수재나 무안공항 사고 때만큼 다루지 않는다. 현재 모금액이 전국적으로 900억 원에 불과한 사실이 현실을 말해준다. 산불 피해 이주민들은 정부의 관심을 간절히 원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재민들은 정부의 지원과 관심이 절실해 보인다. 산불 피해가 자연재난인지 사회적 재난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피해자들이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덕군민 B 씨는 정부에서 산불 피해를 자연재난으로 분류하든지, 산불피해에 대한 특별법을 만들든지 해달라고 호소했다. 정부와 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없다면 이재민들의 고통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산불피해 이재민들이 머무는곳에 영덕군수가 보이지 않는다며 이 곳을 찾은 방문객들이 의문스러워했다.